AWS EBS용량 확장!
AWS EBS에 대해서 알아봤었습니다.
관련하여서 오늘은 제가 운영 중 궁금한 점이 있어 CaseOpen까지 하고 나서
저처럼 또 헤메는 분이 있지는 않을까해서 포스팅 합니다!
AWS EBS.?
EBS는 (Elastic Block Storage Service)는 AWS EC2 인스턴스에 직접 붙여서 사용하는 블록 스토리지 입니다.
EBS는 가용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EBS볼륨을 사용하여 데이터 백업을 생성하거나 EC2간의 데이터를 마이그레이션 할수도 있습니다.
인스턴스와 독립적으로 저장되므로 인스턴스가 중지되거나 종료되어도 데이터를 유지 할 수 있습니다.
AWS를 운영하는데, a서버 용량이 부족해요. 용량을 좀 늘려주세요.
네. AWS서버 중 데이터의 용량이 부족하여 용량을 늘려달라는 요청을 받게됩니다.
일반적인 물리서버라면 디스크를 추가해준다던지, 일반적인 가상화서버 (hyper-v, vmware, citrix xenserver 등)라면
디스크 수정 - 용량확장만 해주면 늦어도 3-5분이면 늘어난 용량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뭐 별일엤겠나 싶어서 별다른 백업 or 스냅샷 작업없이 그냥 인스턴스 전원을 중지시키고, 볼륨에서 디스크를 수정하였습니다.
이때... 의문점이 생겼습니다.
EBS볼륨은 수정을 누르면 바로 확 보이지가 않습니다.
modifying -> optimizing (N%) -> completed 라는 순서로 진행이 되는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게 뭐가문제냐..? 라고 하실텐데요..
중요한건 이 시간이 엄청 걸린다는 거에요. 아무것도 모르면 저처럼 4-6시간을 멍~하니 기다리고 있어야 합니다.
혹시나 데이터가 날아갈까봐 두려운 맘이 앞서거든요,
저 역시 그랬습니다. 그래서 처음엔 무작정 completed 뜰때까지 기다렸습니다.
그리고 completed 뜨는거 보고 인스턴스 전원을 시작하였고, 서버를 가동하였습니다.
해당서버는 게임서버였기에 점검시간이 길어도 너~~무 길었던 것이죠.
그래서 caseopen 을 하였습니다.
(크기가 1TiB인 EBS 볼륨은 일반적으로 수정되는 데 최대 6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합니다.
다른 상황에서는 동일한 볼륨에 24시간 이상 걸릴 수 있습니다.
볼륨을 수정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항상 선형으로 늘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볼륨이 클수록 시간이 줄어들고 볼륨이 작을수록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닫고 합니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monitoring-volume-modifications.html)
자, 이제 결론은요.
EBS 볼륨을 확장하면 위처럼 총 3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각 단계에서는
: modifying - 수정 상태에선 인스턴스 사용이 불가합니다.
: optimizing (N%) - 최적화 상태에서는 인스턴스 사용이 가능합니다.
: completed - 완료 상태 를 나타냅니다.
즉 Optimizing 단계에서는 정상적으로 볼륨 확장이 가능하고, 인스턴스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이때 사용은 가능하지만 성능은 약~간 떨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GP2의 경우 용량에 따라 iops가 달라지는데, 이때 Optimizing 단계에서는
변경전의 성능과 변경하고자 하는 볼륨의 성능 사이에 위치해 있다고 합니다.
예를들면, 변경전의 300G 볼륨의 iops가 300, 1TB로 변경한다고 하면 iops가 1,000인데, Optimizing단계에서는
이 300 - 1000사이의 위치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글 참조하셔서 저처럼 오~~래 기다리지 마시길 바랍니다.
혹시 모르니 AMI나 스냅샷으로 백업은 해두는게 좋겠지요^^;
'IT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주요서비스_Database (1) | 2023.04.16 |
---|---|
AWS 주요서비스_Network (0) | 2023.04.10 |
AWS 주요서비스_Storage (0) | 2023.04.09 |
AWS 주요서비스_Computing (0) | 2023.04.09 |
클라우드 서비스 (Cloud Service) (0) | 2023.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