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it push2 git 실전 준비.. git fetch, git revert 등.. git은 개발자에게 필수적인 버전 관리 도구 입니다.로컬레포지토리 및 리모트레포지토리 간의 상호작용 충돌해결, 기록확인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로컬과 리모트 레포지토리의 관계 : git push - 로컬레포지토리 -> 리포트레포지토리로 업로드 할 때 사용 : git pull - 리모트레포지토리 -> 로컬레포지토리로 최신 상태를 가져와 로컬에 반영- 다중 사용자 환경 충돌 : 문제 발생: 동일한 리모트 레포지토리를 사용하는 두 개발자가 각각 커밋 후 푸쉬를 시도할 때, 먼저 푸쉬한 개발자 B의 기록이 리모트에 반영되면 개발자 A는 푸쉬할 수 없습니다. : 해결 방법 . git pull 명령을 실행하여 리모트 레포지토리의 최신 상태를 가져옴 . 가져온 변경 사항을 로컬레포지토리와.. 2025. 4. 26. git status, add, reset 등 git 기본 버전 관리를 위해 Git을 쓰는 건 개발자에겐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하지만 처음 시작하면 복잡해 보이는 명령어들 때문에 많이 당황하실텐데요, 오늘은 Git의 기초적인 명령어들, 특히 git status, git add, git reset 등을 중심으로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git status # 현재 상태 확인현재 Git이 인식하고 있는 프로젝트 상태를 보여줍니다.어떤 파일이 변경되었는지, 커밋할 준비가 되었는지 등을 알 수있습니다.출력 예시는 보통 Changes to be committed: 스테이징 영역에 있는 파일 (곧 커밋될 준비가 된 파일)Changes not staged for commit: 파일은 수정됐지만 아직 git add를 하지 않아서 커밋 대상이 아닌 파일 로 볼 수.. 2025. 4.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