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AWS

클라우드 서비스 (Cloud Service)

by 베이스_ 2023. 4. 7.
반응형

Cloud Service

# 클라우드 서비스 기초 #

클라우드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컴퓨팅 서비스를 말하며, 데이터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성능과 같은 리소스가 온디맨드 방식으로 제공됩니다. 이러한 리소스는 데이터 센터에서 호스팅되며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원격으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클라우드서비스로 AWS, Azure, GCP, Naver Cloud, KT Cloud 등이 있습니다.


#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 #

 - 퍼블릭 클라우드 (Public Cloud)

  : 사용자는 컴퓨팅 리소스를 소유하지 않음

  : 인터넷을 통해 제공

  : 가상화 기술로 만든 서비스를 그대로 사용

 - 프라이빗 클라우드 (Private Cloud)

  : 조직 내에서 컴퓨팅 리소스 공유

  : 사설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

  : 가상 컴퓨팅, 네트워크 등 직접 구축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Hybrid Cloud)

  : 퍼블릭클라우드와 프라이빗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간 네트워크 연결 

  : 즉, 결합하여 단일의 통합 인프라 구축

 - 멀티 클라우드 (Multi Cloud)

  : 다수의 퍼블릭클라우드를 사용


#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

 - IaaS (인프라 서비스)

  :물리적인 자원 가상화

  : 서버, 스토리지 및 네트워킹과 같은 가상화된 컴퓨팅 리소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 예) AWS EC2

 - PaaS (플랫폼 서비스)

  :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 서비스

  : 기본 인프라를 구축하고 유지 관리할 필요 없이 사용자에게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실행 및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

  : 예) AWS RDS, 빈스톡 등

 - SaaS (소프트웨어 서비스)

  : 소프트웨어 솔루션

  : 클라우드에서 호스팅되고 웹 브라우저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액세스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

  : 예) 구글 드라이브, VDI 워크스페이스 등


# 클라우드 서비스 이점 #

 - 확장성 / 탄력성 

  : 물리서버는 시간이 오래 걸림 (장비 선택 -> 발주 -> 운반 -> 기본 OS설치 등)

  : 클라우드 서비스는 필요에 따라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수요에 따라 리소스 사용량을 쉽게 조정 가능

 - 유연성

  :클라우드 서비스는 인터넷 연결을 통해 어디서나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원격으로 작업하고 어디서든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

 - 비용

  : 사용한 만큼만 과금

  : 비용 예측이 가능

 - 재해복구

  : 클라우드 백업 및 클라우드 DR 구성으로 데이터 손상 등 긴급 상황에 대처 가능

 - 유지관리 간소화

  : 물리적인 리소스를 유지할 필요가 없고, 부분적으로 클라우드 벤더사가 유지관리함

 

반응형

'IT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주요서비스_Database  (1) 2023.04.16
AWS_EBS용량확장에 대해 파해치다!  (0) 2023.04.12
AWS 주요서비스_Network  (0) 2023.04.10
AWS 주요서비스_Storage  (0) 2023.04.09
AWS 주요서비스_Computing  (0) 2023.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