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16

Git 이란.? Git: 코드 버전 관리의 필수 도구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코드의 버전 관리는 매우 중요한 작업입니다. Git은 이러한 버전 관리를 위한 강력한 도구로, 개발자들이 효율적으로 협업하고 코드의 변화를 추적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Git의 주요 기능과 장점, 그리고 협업의 이점을 살펴보겠습니다.Git의 기본 개념Git은 코드의 버전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으로,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의 변경 사항을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발표 자료를 여러 번 수정하면서 파일 이름이 발표파일 , 발표-수정1, 발표-최종, 발표-진짜최종 등으로 변경되었다면, 어떤 내용이 수정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Git을 사용하면 각 버전 간의 차이를 쉽게 비교할 수 있습니다. 어떤 파일을 봐야 할지는 Git.. 2025. 3. 25.
테라폼 업앤러닝 (Terrafrom up & Running 테라폼) 인프라에 대해 일을하고, 공부하면서 테라폼, 앤서블과 같은 IaC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지방이라 학원, 모임 등도 없을뿐더러 참여 할 시간도 없는 상황, 혼자서 막막할 때 추천받은 책이다. 실제 환경에서 테라폼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잘 설명하고 있으며, 테라폼을 동작시키기 위한 사례, 테스트, 등 나와있다. 책을 가지고 입문하기에 좋은 책으로 추천!! 책을 보면 아래와 같은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CHAPTER 01 왜 테라폼인가? 1 데브옵스의 등장 2 코드형 인프라란? __2.1 애드혹 스크립트 __2.2 구성 관리 도구 __2.3 서버 템플릿 도구 __2.4 오케스트레이션 도구 __2.5 프로비전 도구 3 코드형 인프라의 장점 4 테라폼의 작동 방식 5 테라폼과 다른 코드형 인프라 도구 비교.. 2023. 10. 19.
테라폼이 뭐지.? IaC.? 요즘 일을 하다보면 IaC, Code로 인프라 관리 등 코드가 대세인듯 하네요, 대학 다닐 때 코딩이 싫어서 시스템, 네트워크쪽만 공부했는데, 결국은 코딩의 늪입니다. 인프라 관리도 코딩, 스크립트, 쉘....죄다 코딩입니다. IaC는 "Infrastructure as Code"의 약자입니다. 즉, 코드로 인프라를 관리하는 걸 뜻합니다. 가상화로 넘어가면서 수동 인프라에서 자동화되고, 반복적인 업무가 많은데, 이 때 IaC로 관리하게되면 구축, 관리, 구성 등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저 역시 아직 IaC에 대해서 잘 모릅니다. 뭐... 용어만 안다고나 할까요.? 그래서 저도 공부 하면서 공부하는 내용을 담아 볼 예정입니다. IaC를 사용하면 코드 기반으로 인프라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 2023. 7. 17.
보안 - ISMS...란? 오늘은 ISMS 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ISMS란.?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입니다. 정보 보안 관리 시스템 ISMS 2013년도에 의무화된 제도로써, 기업(조직)이 각종 위협으로부터 주요 정보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수립ㆍ관리ㆍ운영하는 종합적인 체계(정보보호 관리체계)의 적합성에 대해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쉽게말하면 ISMS는 인력을뽑고, 예산을 투자하고, 기반을 마련하고, 회사의 정보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모든 활동입니다. 즉, 기반을 마련하고, 위험관리를하고, 그것을 운영하고 관리 (점검 및 개선)를 하는 모든 활동과 모든 계획 수립은 회사의 실정에 맞게 수립을 하고, 만약 안되었다면 타당한 근거가 있어야 합니다. ISMS는 3년마다 .. 2023. 4. 24.
반응형